본문 바로가기

junior developer :)/JS_JavaScript19

DOM 이란? / Tree 자료구조 (JS) DOM이란? 문서 객체 모델(DOM, Document Object Model)은 HTML이나 XML 문서에 접근하기 위한 일종의 인터페이스 DOM은 문서의 구조화된 표현을 제공하며 프로그래밍 언어가 DOM 구조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 그들이 문서 구조, 스타일, 내용 들을 변경할 수 있게 돕는다 DOM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interfaces 먼저 window와 Document 객체 (object)는 DOM 프로그래밍에서 가장 자주 사용하는 객체이다. window는 브라우저와 같다고 할 수 있고, document는 root document 자체라고 할 수 있다. 아래는 DOM을 사용하는 공통적인 API의 대표적인 메소드이다 document.getElementById(id) document.q.. 2022. 9. 13.
깊은 복사_Deep Copy vs 얕은 복사_Shallow Copy (JS) 먼저 이 이론을 이해하려면 원시자료형과 참조자료형에 대해서 알고 있는 것이 좋을 것 같아서 제가 전에 정리한 포스팅을 가지고 왔습니다. 원시 자료형_Primitive data type vs 참조 자료형_Reference type(JS) 깊은 복사_Deep Copy 위 포스팅에도 적혀있 듯, 원시값은 복사를 할 때 기존 변수에는 영향을 끼치 않는다. 즉, 실제 값을 복사하는 것을 깊은 복사라고 한다 let a = 33 let b = a b = 11 console.log(a) // 33 //B의 값이 변했지만 a의 값은 변동 없음 console.log(b) // 11 얕은 복사_Shallow Copy 얕은 복사는 객체의 참조값(주소값)을 복사한다 참조값 복사를 생각하면 되는데, 변수를 복사를 하고 수정하면 .. 2022. 9. 9.
원시 자료형_Primitive data type vs 참조 자료형_Reference type(JS) 원시 자료형 _ Primitive data type - 객체가 아니면서 method를 가지지 않는 타입 String, Number, *Bigint, Boolean, Undefined, symbol, null 원시자료형은 모두 하나의 데이터를 담고 있다 참조 자료형_Reference type - 원시 자료형이 아닌 모든 것 대표적으로 배열, 객체, 함수가 있음 하나의 변수에 여러 데이터를 담을 수 있다. (ex. [1,2,3,4,5]) 할당 될 때는 보관함의 주소(reference)가 담긴다 원시자료형과 참조자료형의 차이 - 데이터를 복사 할 때 원시자료형의 경우 원본이 변하지 않는데 비해 객체자료형은 원본이 변한다 let a = 10 let b = a b = 50 이 경우에 a의 값은 10으로 변하지 않.. 2022. 9. 6.
728x90
반응형